2021. 3. 22. 15:37ㆍComputer(인강)/컴퓨터 구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병렬처리 그리고 파이프 라인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의 종속성 - 병렬처리 그리고 파이프라인
1. 병렬처리
2. 파이프라인
4.1 병렬처리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는 컴퓨터 시스템의 계산 속도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동시 데이터 처리기능을 제공하는 광범위한 개념의 기술을 의미한다.
# 복잡도에 따른 병렬처리의 다양한 단계
1. 사용 레지스터의 형태에 따른 병렬 성 구현(ex. 시프트 레지스터 vs 워드당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병렬성을 갖는 레지스터)
2.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러개의 기능 장치(functional unit)를 가지고서
데이터를 각각의 장치에 분산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ex. 산술, 논리, 시프트 동작을 세개의 장치로 분류하고, 제어장치의 관리에 따라 피 연산자를 각 장치들 사이에서 전환시킨다)
# 다중 기능장치를 가진 예제
# M.J Flynn의 분류 방법
동시에 처리되는 명령어와 데이터 항목 수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하려는 분류 방법 제안(명령어 흐름(instruction stream) ->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명령어의 순서, 데이터 흐름(data stream) ->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동작)
1. SISD -> 단일 명령어 흐름, 단일 데이터 흐름
2. SIMD -> 단일 명령어 흐름, 다중 데이터 흐름
3. MISD -> 다중 명령어 흐름, 단일 데이터 흐름
4. MIMD -> 다중 명령어 흐름, 다중 데이터 흐름
(쿼드코어, 듀얼코어 등의 방식이 MIMD 방식)
'Computer(인강)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peline 구조 - 데이터 & 구조 1 (0) | 2021.03.22 |
---|---|
데이터의 종속성 - 병렬처리 그리고 파이프라인 2 (0) | 2021.03.22 |
프로그래밍 언어와 실행 2 (0) | 2021.03.21 |
프로그래밍 언어의 실행 1 (0) | 2021.03.21 |
기본 컴퓨터 프로그래밍 2 (0) | 2021.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