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링크 및 특수 파일

2021. 3. 7. 15:18Computer(인강)/시스템 프로그래밍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소프트링크 및 특수파일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의 비교입니다.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둘다 어느 하나 파일을 수정하면, 각 파일 이름으로 동일하나 내용 접근 가능

원본파일이 바뀌면 hardlink와 softlink도 바뀝니다. 다 연결되어 있는거니까요

 

그리고 원본파일을 삭제했을 때 hardlink는 그대로 나오지만 softlink는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소프트링크는 원본파일이 없어지면 제 구실을 못하는구나

 

 

특수 파일

특수파일은 디바이스를 가리키는 파일이다.

 

#디바이스

1) 블록 디바이스(Block Device)

: HDD, CD/DVD와 같이 블록 또는 섹터 등 정해진 단위로 데이터 전송, IO 송수신 속도가 높음

2) 캐릭터 디바이스(Character Device)

: 키보드, 마우스 등 byte 단위 데이터 전송, IO 송수신 속도가 낮음

3) cd/dev, cat tty

 

 

 

정리

 

1. 파일 추상화 인터페이스를 활용 다양한 데이터/디바이스 접근

2. 파일 네임스페이스는 전역 네임스페이스 활용(/media/floofy/dave.jpg)

3. '파일이름:inode'로 매칭, 파일 시스템은 inode 기반 접근

4. 하드링크: 동일 inode 가리키는 파일 이름만 하나 더 만듬

5. 소프트 링크: 특정 파일 바로가기 파일을 만듬

6. ln명령 알아두기

7. 특수 파일: 블록/캐릭터 디바이스

728x90
반응형

'Computer(인강) > 시스템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I와 표준  (0) 2021.03.07
시스템콜과 API  (0) 2021.03.07
하드 링크  (0) 2021.03.07
리눅스 파일 시스템 탐색  (0) 2021.03.07
리눅스 파일 시스템  (0) 2021.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