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내부구조와 명령어 집합 1

2021. 3. 20. 19:26Computer(인강)/컴퓨터 구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CPU의 내부구조와 명령어 집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CPU 내부구조와 명령어 집합

1. 명령어(instruction) 구성과 실행

2. CPU(central processing unit) 디자인

 

 

 

# 명령어 코드

이번 시간에는 레지스터 전송문으로 나타내어지는 기본 컴퓨터의 각 연산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알아본다.

컴퓨터(CPU)의 구조는 내부 레지스터, 타이밍과 제어구조 명령어 집합에 의해 정의 된다.

 

 

# 레지스터 전송 언어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된 데이터의 조작을 위해 실행되는 동작을 마이크로연산(micro-operation)이라 함.

는 하나의 클럭 펄스(지금 시작 또는 그만 이라고 하는 타임 클럭 펄스) 내에서 실행되는 기본 적인 동작(참고로 외부에서 실행되는건 마크로, 매크로)

(ex, 시프트(shift) - 옆자리로 이동하는것, 카운트(count) - 체킹하는것, 클리어(clear) - 재사용을 위해 지워내는것, 로드(road) - 작업대 위에 올리는것...)

 

# 디지털 컴퓨터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하여 논의 되어야 할 내용

1. 레지스터의 종류와 그 기능

2. 레지스터에 저장된 이진 정보를 가지고 수행되는 일련의 마이크로 연산들

3. 일련의 마이크로 동작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제어기능

 

순서논리회로라는것은 CPU와 같은 구조가 만들어졌다라고 했을때 조합논리회로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는것이고

조합논리회로와 결국 저장할 수 있는 플립플롭이 묶여졌을 때, 순서논리회로가 만들어지는것이고

이러한 순서논리회로가 만들어져서 아 이제 시판해도되겠다 했을때 이것이 CPU이다.

 

 

 

# 레지스터 전송

* 가장 일반적 표현들

# 레지스터 전송을 나타내는 각 문장들은 그 전송을 수행하는 하드웨어가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