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내부구조와 명령어 집합 2
2021. 3. 20. 21:13ㆍComputer(인강)/컴퓨터 구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CPU내부구조와 명령어 집합에 대해 계속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레지스터 전송
- 레지스터 전송의 기본 기호
# CPU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간 상호 연결
1. 직접 연결 : 연결 복잡도가 장치수의 제곱에 비례(확장성이 떨어짐)
하드웨어를 하드웨어 답게 구동시킬 수 있는 명령지시서를 소프트웨어라고 하는데,
소프트웨어는 수시로 바뀔거고 개선이 될텐데 그럴때마다 하드웨어가 바뀌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겠죠?
그래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서로 영향을 주어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의 n은 메모리, 레코드의 갯수 등이 될 수 있겠습니다.
2. 버스연결 : 공용선에 의한 연결
- 가장 가성비 높은 연결 방식
-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된다.
# 공용선에 의한 레지스터 상호 연결 예1 - 멀티 플렉서를 이용(그냥 참고만 하세요)
(빨간색 부분을 Common bus line이라고 할 수 있음)
# 공용선에 의한 레지스터 상호 연결 예2 - 3상태 버스 버퍼(그냥 참고만 하세요)
3.4 CPU(central processing unit)디자인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
728x90
반응형
'Computer(인강)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 명령과 ALU - 2 (0) | 2021.03.20 |
---|---|
마이크로 명령과 ALU 1 (0) | 2021.03.20 |
CPU 내부구조와 명령어 집합 1 (0) | 2021.03.20 |
CPU 내부 구조와 레지스터 2 (0) | 2021.03.20 |
CPU 내부 구조와 레지스터 (0) | 2021.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