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3. 18:12ㆍComputer(인강)/컴퓨터 구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새롭게 Memory system을 공부해볼거에요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 메모리 시스템의 이해
1. 메모리 계층
2. 주 기억장치
3. 보조기억장치
5.1 메모리 계층
기억장치는 CPU에 의하여 시행될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곳으로 이는 주기억장치(Main memory unit)와 보조기억장치(Auxiliary memory unit) 그리고 캐쉬메모리(Cache memory)로 분류된다.
# 주 기억장치(Main memory unit)
1. 마더보드(Motherboard)에 장착됨 - RAM(Random Access Memory)
비교적 대용량, 고속의 속도를 지님, 휘발성 성질을 지님
2. ROM(Read Only Memory)도 주 기억장치의 일종
#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buffer)
1. 주 기억장치 접근시간(느림) > 프로세스 논리회로(빠름) -> MMS & CPU배치
2.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사용빈도가 높은 임시데이터 저장
기억장치는 CPU에 의하여 시행될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곳으로 이는 주기억장치(Main memory unit)와 보조기억장치(Auxiliary memory unit) 그리고 캐쉬메모리(Cache memory)로 분류된다.
# 보조기억장치(Auxiliary memory unit) - 당장 활용되는건 아니다
1. 비교적 저속, 대용량의 자료 보관이 가능하다.(당장 쓰지 않는 자료들이 들어가있다)
2. 보조기억장치내 자료는 필요한 경우 주 기억 장치로 옮겨져야(Loading)한다.
3. Magnetic Tape, USB, SD card - 필요한 파일의 생성 및 삭제가 가능(당장 그때그때 필요한 파일들)
4. Magnetic drum, disk - back up 저장장치
5. 코어(core)메모리, magnetic bubble, CCD(Charge couple service)등의 대용량 저장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계층
* 왜? 메모리를 계층별로 나누어서 사용할까? - 입출력의 경제성 때문
'Computer(인강)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 메모리 관리 정책 (0) | 2021.03.25 |
---|---|
Memory system의 이해 2 (0) | 2021.03.23 |
파이프라인 CPU의 성능 분석 2 (0) | 2021.03.23 |
파이프라인 CPU의 성능 분석 1 (0) | 2021.03.23 |
Pipeline구조 - 산술 & 명령어 파이프 라인 2 (0) | 202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