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ory system의 이해 2

2021. 3. 23. 23:27Computer(인강)/컴퓨터 구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서 Memory system의 이해 두번째 시간입니다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5.1 메모리 계층

#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계층

- 왜? 메모리를 계층별로 나누어서 사용할까? - 입출력의 경제성 때문

 

SRAM은 캐시메모리에 사용됨

DRAM은 일반적인 주기억장치에 활용되는 장치다

 

# 주기억장치(Main memory unit)의 종류

 

1. RAM(Random Access Memory)

1) SRAM(Static RAM)

-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동안 정보 유지(Flip-Flop으로 구성)

- 사용이 편리하고, 읽기와 쓰기 시간이 짧다(cache 기억장치)

2) DRAM(Dynamic RAM)

- 주기적으로 재 충전 해 주어야 정보가 유지

- 전력 소비가 적고, 하나의 칩으로 대량의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2. ROM(Read Only Memory)

- 부트 스트랩 로더(bootstrap loader)

- 전원의 on/off와 무관하게 작동

 

 

# 하나의 메인보드에 디자인 된 ROM과 RAM

 

# RAM의 동작 원리

 MAR : memory address register

MBR : memory buffer register(캐시라고 이해해도됌)

 

 

5.3 보조기억장치

# 보조 기억 장치(Auxiliary memory unit)의 주요 특성

* 접근 시간 : 메모리내의 기억장소에 도달하여 그 내용을 얻는데 요구되는 평균 시간을 의미 한다.

(CPU의 입장에서 보면 캐시메모리의 1000배 정도)

1. 시크 타임(Seek time) : read/write head가 지정된 기억장소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2. 트랜스퍼 타임(Transfer time) : 추출된 데이터를 장치내 또는 장치 밖 필요한 곳으로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3. 레코드(record) :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단위, 시크 타임을 체크하게 되는 기준(일정한 길이의 수치 또는 문자 집합)

4. 전송률 : 장치가 레코드의 시작점에 위치한 다음 단위 시간은 보통 분(minute), 전송 할 수 있는 문자나 위드의 수

 

 

 

 

# 보조 기억장치(Auxiliary memory unit)의 주요 특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