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5. 23:30ㆍComputer(인강)/컴퓨터 구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다양한 기억장치들 두번째 이야기가 펼쳐집니다용~~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5.10 보조 기억 장치
# SSD(Solid State Drive)
1. 고형 상태 보조기억장치, 고체상태(Solid-state)와 소체(트랜지스터)를 뜻한다.
2. 출력장치인 액정디스플레이 VS AMOLED 디스플레이와 비슷한 사례, 기능면에서 보자면 SSD와 HDD가 같은 저장 매체임에는 틀림 없다. HDD는 자기 디스크, 이쪽은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된다. 구동 부(모터)가 없으므로 소음도 대폭으로 감소 그리고 소모 전력이랑 발열 수준도 낮다.
3. 이런 식으로 회전판이 제거된 컴퓨터를 제로 스핀 시스템이라고 한다.
# SSD(Solid State Drive)의 특징 및 장점
* SSD의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 입/출력 속도이다.
#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or Independent)Disks)
1.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여러개의 하드 디스크들을 묶어 하나의 기억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2. 다수의 하드 디스크들은 오류 복구에 대한 정책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0~6레벨)으로 구분된다 다만 상호 계층적은 아니다.
- RAID level 0
어떤 특정값에 의해 나눠진 나머지를 갖다가 서로 구분해주는 값을 hamming code라고 합니다.
반사디스크를 구성한 방식이 level2
level3는 디스크를 여러개 두지 않고, 디스크를 하나.
Parity bit를 압축형태로 두고 hamming code에 의해 찾을 수 있도록 정보를 작게 만들어 둔것
이걸 조금씩 축소해놓은것이 RAID 4~6
이런식으로 대각선으로 저장하는것이 level5
level6은 디스크를 반으로 쪼개서 P값과 Q값을 따로따로 관리하는 그런 구성을 갖는것이 RAID0~9의 구성합니다.
# usb(Universal Serial Bus)
1. 원래는 주로 시리얼 포트나 패레럴 포트 등의 데이터 입출력 단자에 연결하여 이용하는 주변 기기들을 좀 더 쉽게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자이다.
2. 첫 등장은 인텔 최초의 USB 지원 칩센인 430HX가 발표된 1996년이나 실질적으로 대략 1990년대 말~ 2000년대 초부터 보급 시작되었다. 현재는 주변기기 연결 인터페이스의 사실상 독점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Computer(인강)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BUS 구성 및 제어 2 (0) | 2021.03.27 |
---|---|
시스템 BUS 구성 및 제어 1 (0) | 2021.03.26 |
다양한 기억장치들에 대한 이해 (0) | 2021.03.25 |
컴퓨터 성능 개선을 위한 메모리관리 2 (0) | 2021.03.25 |
컴퓨터 성능 개선을 위한 메모리관리 1 (0) | 202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