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인강)/데이터베이스(50)
-
데이터 아키텍처에서 데이터베이스 - 01. 데이터 친화성 묶음화로 데이터베이스 정의하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데이터 아키텍처에서의 데이터 베이스 첫 시간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친화도 묶음화(Affinity Clustering)기법 1. 친화도(Affinity)분석에 의한 묶음화(Clustering) 2. 가치 흐름(Value Stream)에 의한 묶음화 3. 직관에 의한 묶음화 업무기능 친화도 묶음화(Affinity Clustering) 결과 - 비즈니스 시스템 (예) 엔티티 유형 친화도 묶음화(Affinity Clustering) 결과 - 데이터스토어 (예) 데이터스토어 프로파일(예)
2021.04.07 -
상호작용 아키텍쳐 - 03. 비즈니스 활동과 데이터, 상호작용성 정의하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상호작용 아키텍쳐의 세번째 시간으로, 비즈니스 활동과 데이터, 상호작용성을 정의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활동을 통한 데이터 데이터 - 프로세스 CRUD 매트릭스 비즈니스 활동 묶음화를 통한 비즈니스 시스템 및 영역 정의 CRUD 매트릭 스 점검사항 1. 업무기능에 의해 생성(Create)되지 않는 엔티티 유형이 있는가? 2. 엔티티 유형에 작용하지 않는 업무 기능이 있는가? 3. 하나의 엔티티 유형이 너무 많은(4개 이상)업무기능에 의해서 생성되고 있는가? 4. 하나의 업무기능이 너무 많은 엔티티 유형을 생성하고 있지 않는가? 비즈니스 활동 묶음화를 통한 비즈니스 시스테 및 영역 정의
2021.04.07 -
상호작용 아키텍쳐 - 02. 정보 요구에서 데이터 정의하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정보요구에서 주제영역 정의하기 부분을 배워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주제영역을 통해 엔티티 유형 도출 엔티티 유형 요건
2021.04.07 -
상호작용 아키텍쳐 - 01. 정보 요구에서 비즈니스 활동 정의하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상호작용 아키텍쳐의 첫번째 시간인, 정보요구에서 비즈니스 활동 정의하기 입니다. 바로 시작해보록 하겠습니다 정보 요구에서 업무기능(Function) 도출 업무기능 분할도(FDD)로 정의하기 업무기능 의존도를 통한 정련화 업무기능 분할과 의존성 분석
2021.04.07 -
정보 아키텍쳐 - 04. 프로덕트 계층 구조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프로덕트 계층 구조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프로덕트 계층 구조도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에서 데이터 아키텍처 관점 계층 데이터 아키텍처 - 데이터 모델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아키텍처와 모델과의 관계는 상세함 정도의 차이가 다르다 프로덕트 계층 구조 연계(예)
2021.04.07 -
정보 아키텍쳐 - 03. 4PMs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4PMs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4PMs 구성도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피플 매니지먼트
202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