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인강)/운영체제(41)
-
스케쥴링 알고리즘 기본1
이 포스팅은 fastcampus의 '컴퓨터 공학 전공자 따라잡기 온라인 완주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눈치채셨나요,, 저의 폭풍 포스팅,, 후후..어디서 그런짤을 본적이 있어요..머리속에 넣다보면 언젠간 알아서 이어진다...... 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얍! 오늘은 스케쥴링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해볼거에요 먼저 프로세스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프로세스란? 실행중인 프로그램은 프로세스라고함. 프로세스: 메모리에 올려져서 실행중인 프로그램 코드이미지(바이너리): 실행 파일, 예:ELF format 프로세스라는 용어는 작업, task, job이라는 용어와 혼용이됩니다. 여기서 잠깐!! 응용프로그램은 =! 프로세스 입니다. 즉, 응용프로그램은 프로세스라고 말할 수..
2021.02.20 -
스케쥴링 - 멀티 프로그래밍
이 포스팅은 fastcampus의 '컴퓨터 공학 전공자 따라잡기 온라인 완주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멀티 프로그래밍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다양한 측면에서 깊이있는 공부를 시작해볼거에요 바로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쟈악~ 멀티프로그래밍이란? 최대한 cpu를 많이 활용하도록 하는 시스템. -> 시간대비 cpu활용도를 높이자. 운영프로그램 중 cpu실행이 필요한 운영프로그램을 cpu에 바꿔치기를해서 촘촘하게 cpu를 운영프로그램이 쓰도록 하는것 -> 운영프로그램은 최종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실행완료 시킬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온전히 cpu를 쓰기보단 다른 작업을 중간에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하다..
2021.02.19 -
스케쥴링 - 배치 처리, 멀티 태스킹, 멀티프로세싱 상세
이 포스팅은 fastcampus의 '컴퓨터 공학 전공자 따라잡기 온라인 완주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반나비 입니다^ㅅ^ 오늘은 스케쥴링에 대해서 배워볼거에요 긴말 필요없이 바로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ㅅ^ 1. 배치 처리 시스템 자료구조의 queue방식과 맥락상 비슷합니다. 첫번째 Application1이 실행되면 사라지고 그 이후에 Application2이 실행되는 방식이기에 first in first out방식으로 동작됩니다. 프로그래밍으로 구현을 한다고 하면, application을 등록하는 자료구조는 queue를 써야되겠죠 queue는 아래와 같습니다. queue안에 1234 순으로 들어갔다고 했을때, 이상태의 큐에서 데이터 하나를 추출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어떤 데이터가 ..
2021.02.19 -
운영체제 구조 - 사용자 모드와 커널모드
이 포스팅은 fastcampus의 '컴퓨터 공학 전공자 따라잡기 온라인 완주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반나비 입니다 저번 시간에 시스템 콜에 대해서 말씀드렸는데 이해가 가셨나요? 아직 이해가 가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저와함께 이번 포스팅에서 한번 더 깊이 다뤄보면서 이해해보기로 해요! 그럼 시작~~~^ㅅ^ CPU Protection Rings를 먼저 알아야합니다. CPU도 사실 권한 모드라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 모드 (user mode by applications) 커널모드 (kernel mode by OS) : 특권 명령어 실행과 원하는 작업 수행을 위한 자원 접근을 가능케 하는 모드 kernel이란? - OS kernel 1. (견과류, 씨앗의)알맹이 2. (사상, ..
2021.02.19 -
운영체제구조 - 시스템 콜
이 포스팅은 fastcampus의 '컴퓨터 공학 전공자 따라잡기 온라인 완주반'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반나비입니다^ㅅ^ 오늘은 오늘은 시스템 콜에 대해서 공부해볼거에요 시스템 콜은 뭘까? 1) 시스템 콜 또는 시스템 호출 인터페이스 2) 운영체제가 운영체제 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콜이라는 명령 또는 함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3) 각 언어별 API 내부에는 시스템콜을 호출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네? 이게 뭔소린지 한번 듣고 아시겠나요..? 천재이신가^ㅅ^ 계속 읽어보죠.. 운영체제는 사용자든 운영프로그램이든 외부에서 운영체제에 뭔가 컴퓨터 자원을 쓰기위해서 요청을 하려고 하면, 시스템 콜이라는 요청서를 써서 요청해주세요 라고 시스템콜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202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