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인강)(213)
-
TCP와 NAT 04. TELNET & SSH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TELNET과 SSH에 대해서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TELNET 역할 :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1. RFC 854, TCP 23번 사용, Terminal 애뮬레이터 2. 장비 관리 또는 서버 접속 시 사용 - Shell - Command Line Interface 3.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인 경우, 포트 테스트 용도로 많이 사용 해당 도메인 또는 IP주소에 서비스 포트(서비스)가 열려 있는지 확인 가능 TELNET 기능 NVT(Network Virtual Terminals) 지원 : 데이터 변환 가상 장치 협상 가능한 옵션 프로세스와 터미널의 1:1 symmetric 관계 TELNET Negotiation Comman..
2021.04.04 -
TCP와 NAT 03. NAT의 개요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NAT의 개요에 대해서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인 IP & 사설 IP 공인 IP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공인기관에서 인정하는 IP주소이며 인터넷을 통한 외부망에서 식별되고 통신 가능한 IP 사설 IP 내부망에서 사용 및 식별 가능한 IP, IPv4 개수의 한계 10.0.0.0/8, 172.16.0.0/12, 192.168.0.0/16 WAN에서 사용하는것은 공인ip LAN안에서 사용하는것 사설ip IP 정보 확인 자신의 PC가 외부 인터넷으로 통신 시 사용하는 공인 IP 정보 확인 공인 IP - http://www.ipconfig.kr/ IPCONFIG.CO.K..
2021.04.04 -
TCP와 NAT 02. TCP 통신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TCP통신에 대해서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CP 통신 과정 3 way handshake TCP는 연결지향 프로토콜로 두 호스트가 통신하기 전에 연결을 위한 관계를 수립 4 way handshake 연결을 종료 TCP 통신 과정 TCP 상태 전이도 - Client TCP 상태 전이도 - Server 아래에 가려진 부분 Send Fin Rcvd Ack TCP 타이머 - Retransmission 송신측이 패킷을 매번 전송할 때 카운트 RTO(Retransmission Timeout) 내 ACK 응답이 오지 않으면 재전송 RTO는 RTT(Round Trip Time)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변함 SRTT(Smoothed Round-Trip Time),..
2021.04.04 -
TCP와 NAT 01. TCP & UDP 개요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TCP와 UDP의 개요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Transport 계층 역할 : End to End 서비스, 커넥션(연결)을 관리 1. Connection-oriented, Reliability, Flow control, Multiplexing 2. TCP & UDP, 소켓을 통한 프로세스별 통신 3. 5 tuple = source IP, Source Port, Dest IP, Dest Port, Protocol Port(포트)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며 특정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단위 0 ~ 65535 0 ~ 1023 : well-known port, 1024 ~ 49151 : registed port, 49152 ~ 65535 : dynamic p..
2021.04.04 -
동적 라우팅 03. 동적 라우팅 - OSPF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동적라우팅 OSPF에 대해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정의 : 링크 스테이트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IGP용 라우팅 프로토콜 1. 1998년 RFC 2338 OSPFv2 2. 2008년 RFC 5340 OSPFv3 for IPv6 3. RIPv1의 단점을 보완 - 홉 카운트의 제한이 없음 - VLSM(Variable-Length Subnet Mask) 사용하여 효율적 IP 관리 - 변경된 정보만 전파, 적은량의 라우팅 트래픽 유발 - 단순 라우터의 홉이 아닌 링크의 상태로 경로 설정 - Convergence 타임이 빠름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구성 계층적 구조, 여러..
2021.04.04 -
동적 라우팅 02. 동적 라우팅 BGP & RIP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동적 라우팅 BGP와 RIP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거에요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적 라우팅 구분 개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AS(Autonomous System)에 따라 구분된다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AS 내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AS와 AS간의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의 도식화 집단과 집단의 라우팅은 EGP를 통해서 하고, EGP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BGP가 있습니다 AS내에서 통신하는 IGP프로토콜이 있고, IGP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RIP(Distance Vector알고리즘 사용), OSPF(Link State알고리즘 사용)가 있습니..
202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