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인강)/네트워크(27)
-
L2 스위치 01.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기능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 ? 역할 : 1. OSI 7 Layer의 2계층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를 제공 2. 물리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 3.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이더넷이 있으며 장비로는 스위치가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 1. 2개의 부 계층으로 구성 1) MAC(Media Access Control) 물리적인 부분으로 매체간의 연결방식을 제어하고 1계층과 연결 2) LLC(Logical Link Control) 논리적인 부분으로 Frame을 만들고 3계층과 연결 동일한 Frame단위로 전송을 하다가 상위계층은 Packet단위로 왔다갔..
2021.04.04 -
물리 계층 04. 패킷 덤프 - 와이어샤크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패킷덤프에 해당하는 와이어샤크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거에요 바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Wire Shark란? 정의 : 오픈소스 패킷 분석 프로그램 1. 예전에 이더리얼로 불렸다가 상표권 문제로 와이어샤크로 변경 2. 리눅스 TCPDUMP와 함께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에 널리 쓰이는 도구 3. 2020년 5월 19일자를 기준으로 Wireshark 3.2.4, 3.0.11, and 2.6.17 Released 설치 가이드 1. https://www.wireshark.org 접속 2. 다운로드 클릭 3. 해당되는 OS에 맞게 다운로드 진행 4. 다운로드 파일 실행 -> 클릭 5. 첫번째것 사진에서 체크 안하고 클릭하는것이 핵심 사용 방법 1. 실행 후 활성화 인터페이스..
2021.04.04 -
물리 계층 03. UTP케이블과 Wi-Fi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UTP케이블과 WiFi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할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UTP 케이블이란? 정의 : Unshielded Twisted Pair, 주로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이더넷 망 구성시 가장 많이 보게되는 케이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전화기를 만든 사람)이 AT&T에서 발명 8가닥. 선들은 두개씩 pair로 꼬여져있음 UTP가 실제로 장비에 연결된 모습 코드 배열 8P8C(8개의 Position, 8개의 Code) 8개의 선 배열에 따라 다이렉트 또는 크로스 케이블로 구성한다 RJ-45라는 커넥터를 사용 첫번째 배열을 TIA-568A라고 함. 선이 8가닥이 나오는데 일단 첫번째는 무조건 띠가 나옵니다. 그다음은 단색이 나오고요. 그래..
2021.04.04 -
물리 계층 02. 물리계층 장비와 케이블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물리계층의 장비와 케이블에 대해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물리계층 장비 1. 허브 허브는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포트에 연결된 PC들끼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사실 허브도 요즘 잘 쓰이진 않아요) 2. 리피터 리피터는 현재 거의 쓰이지 않는 장비로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여 좀 더 먼거리까지 통신이 가능 포트가 많이 필요 없겠죠? 허브에 하나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또다른 허브에 연결해서 허브와 허브의 통신거리를 증폭시켜주는 장비 허브의 동작방식 단순 중계기의 역할로 허브에 연결된 PC1이 다른 PC2에게 데이터를 보내려 하면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들에게 그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브로드캐스팅 통신 1 -> ALL(한명이 1대 다에게, 모두에게 전달을 한다) 허브..
2021.04.04 -
물리계층 01. 물리 계층의 역할과 기능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물리계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할거에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물리계층이란? Physical Layer 역할 : 1. OSI 7 Layer의 1계층으로, 하드웨어로 표현 2. 네트워크 장치의 전기적, 기계적 속성 및 전송하는 수단을 정의 3.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레임을 신호로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 4. 통신 장치와 커넥터, 인코딩(Bit -> Signal), 송수신을 담당하는 회로등의 요소가 있다 왼쪽 네모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장비로 보면 됨 Signaling의 종류 1. 전기 Copper 케이블을 사용하며 전화선, UTP, 동축케이블 등이 이에 속함 UTP케이블 단면 UTP가 실제 하드웨어 장비에 연결된 모습 동축케이블 장치..
2021.04.04 -
네트워크 소개 04. TCP-IP Suite 비교와 캡슐화
안녕하세요 bannavi입니다^ㅅ^ 오늘은 TCP-IP Suite비교와 캡슐화에 대해 배워볼거에요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CP/IP 정의 :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모음으로 패킷 통신 방식의 IP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 1960년대 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연구 1990년대 네트워크 표준이 ISO 모델과 TCP/IP 모델로 좁혀짐 1990년대 말 TCP/IP 모델이 자주 쓰이면서 가장 일반적인 모델이 됨 그러면 TCP/IP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Application Transport Network Network Interface Network Interface는 하드웨어로 볼 수 있음 TCP/IP와 OSI 7 Layer 비교 인캡슐레이션 Applicatio..
2021.04.04